월드컵에서 활약하는 SAOT | Smilegate.AI
[AI센터 권은지] 올해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국제축구연맹(FIFA)이 개발한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 (SAOT, Semi-Automated Offside Technology)이 처음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세계 각국의 자존심을 건
smilegate.ai
올해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국제축구연맹(FIFA)이 개발한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 (SAOT, Semi-Automated Offside Technology)이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축구에서 오프사이드 반칙은 주로 공격 진영에서 공을 가진 자신의 팀 선수가 패스를 하였을 때 공을 받는 선수가 공을 차는 순간 골키퍼와 상대방의 수비수보다 골라인에 가까이 있을 때 선언된다. 그 가운데 인체모션 인식기술 SAOT 은 선수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심이 올바른 판정을 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데이터의 수집은 경기장 내부에 설치된 12개의 추적 카메라를 기반으로 작동하게 된다. 경기 중인 22명의 선수들의 관절을 비롯해 판정에 필요한 29개의 신체 부위 위치 데이터를 초당 50회 분석한다.
공인구 '알 릴라' 내부에도 관성 측정 센서(IMU)가 장착되었다. 초당 500회의 빈도로 공의 움직임을 전송해 정확하게 기록하고 이러한 데이터들은 곧바로 비디오실로 전달된다. 그리고 최종 판단은 주심이 하게 된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웨어러블 기기는 ‘전자 성능 추적 시스템(EPTS·Electronic Performance & Tracking System)이라고 불리는 의류형 웨어러블 기기이다. 이 장치는 길이 18cm, 무게 53g의 장치는 위치 추적 장치(GPS) 수신기, 자이로스코프(회전 운동 측정 센서), 가속도 센서, 심박 센서 등 각종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감독과 코치진은 기기로부터 얻은 데이터 정보를 통해 선수들의 활동량, 최고 속도, 히트맵 등을 확인하고 훈련과 전술에 사용하게 된다.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를 접목한 웨어러블 기기는 다양한 스포츠 경기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4D 모션 스포츠(4D Motion Sports)’의 동작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피로를 추적하도록 했다. 선수들의 데이터는 허리에 부착된 작은 단말을 통해 수집하며 훈련 후 선수와 코치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을 수정하게 된다. 이 장치는 선수가 점프하는 이륙과 착지의 알고리즘을 완성하여 점프로 인한 고관절과 몸 중추 스트레스를 추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선수의 컨디션과 운동 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스포츠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는 윤리적인 문제가 항상 존재한다. 선수의 활동량과 프라이버시에 누가 접속을 하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관한 우려도 있다. 당장에는 명확한 규제가 없지만 현재 백악관은 AI 기반의 개인 데이터 사용 관리에 대한 규정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어 향후 법률로 규제가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노동 시장에서 스포츠에 접목되는 인공지능 기술들이 인간 코치나 감독을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된다. 경기 중 지도자는 그 자리에서 직접 선수의 상황을 고려하며 느끼고 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선수의 기량 회복에 도움을 주거나 퍼포먼스를 더 잘 발휘하도록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PaaS란? Microsoft Azure의 대표 서비스로 PaaS 예시 체험 (0) | 2023.01.18 |
---|---|
안전한 재택 근무 환경을 위한 인터넷 보안 강화 방안 (0) | 2023.01.09 |
사람의 눈보다 더 정확하게 인식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의 현황과 전망 (0) | 2022.11.28 |
AI 윤리와 AI 거버넌스 (0) | 2022.11.21 |
클라우드의 시작과 끝, 클라우드 보안 (0) | 2022.11.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