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 샤크로 열어 살펴보다가 프로토콜이 MP4인 패킷을 발견했다.
mms를 사용한 것 같다.
TCP Follow를 해 보니 VID_20130705_145557.mp4가 중요한 단서일 것 같다.
파일을 raw로 추출해 주고...
헥스 에디터로 추출한 파일을 열어 MP4 헤더 시그니처 이전 데이터를 모두 지운 후 저장을 해 주었다.
저장한 파일의 확장자를 mp4로 수정해 둔 뒤 파일을 열어 보니 15초짜리 영상이었고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플래그가 나왔다.
성공...
아직 네트워크 문제는 좀 어려운 것 같다.
[ctf-d] 이 그림에는 뭔가 좀 수상한... (0) | 2022.08.21 |
---|---|
[ctf-d] 원래는 의미가 없는 것들도... (0) | 2022.08.16 |
[ctf-d] DefCoN#21 #2 (0) | 2022.08.16 |
[ctf-d] 답을 찾고 제출해라! (0) | 2022.08.15 |
[ctf-d] 호레이쇼가 플래그를 보며… (0) | 2022.08.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