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mp1.raw.lzma 파일의 압축을 푸니 dump1.raw 파일이 나왔다.
raw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은 메모리 덤프 파일이기 때문에 volatility를 이용하려고 한다.
(volatility를 사용해 풀었던 문제: https://ziee.tistory.com/83)
이 메모리 파일의 profile은 Win10x64인 것을 imageinfo 명령어를 통해 알 수 있다.
pstree를 통해 확인해 보니 다른 시스템 프로세스들보다 눈에 띄는 그림판 mspaint.exe의 흔적이 있다.
프로세스 PID는 4092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spaint.exe를 덤프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참고: https://aaasssddd25.tistory.com/55)
4092.dmp가 추출되었다.
메모리 덤프 속 이미지를 확인하려면 GIMP2를 사용하면 된다고 해서 다운로드를 해 주었다.
(https://www.gimp.org/downloads/)
확장자를 dmp에서 data로 바꿔 준 뒤 김프를 통해 열어 보았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오래 걸렸는데... 오프셋 너비 높이를 전부 조정하며 사진이 뜨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오프셋 5537078 너비 1094 높이 1000에서 겨우 찾았다.............
성공!
[ctf-d] 천 마디 말보다 사진 한 장… (0) | 2022.09.22 |
---|---|
[ctf-d] 윈도우 작업 관리자에서 우클릭... (0) | 2022.09.19 |
[ctf-d] 판교 테크노밸리 K기업에서… #2 (0) | 2022.09.16 |
[ctf-d] 판교 테크노밸리 K기업에서… #1 (0) | 2022.09.15 |
[ctf-d] Find Key(docx) (진행 중) (0) | 2022.09.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