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아티팩트란?
디지털 포렌식에서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생성되는 흔적을 말한다.
아티팩트의 종류
Cache
사이트 접속 시 방문 사이트로부터 자동으로 전달받는 데이터 (이미지, 텍스트, html, xml, 스크립트 파일 등)
기존에 방문하였던 웹 사이트를 재방문할 때 변경되지 않은 정보는 다운받지 않고 캐시에서 로딩하는 방식 사용
접속 URL, 캐시 파일 정보(저장 시간, 파일 명, 타입, 크기,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
Cookie
HTTP 통신에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정보를 잠시 저장해 두는 임시 저장소
보안의 이유로 쿠키에 자세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지양하지만 사용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아직도 쿠키는 자주 사용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에 저장하기 때문에 방문한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쿠키에서 확인되는 URL은 사용자가 직접 방문한 사이트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이 가능
호스트 경로, 쿠키 수정 시간, 쿠키 만료 시간, 이름, 값 등의 정보를 제공
Download File List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다운로드 한 파일의 정보
의도치 않게 다운로드 된 파일(ex: 캐시)과 구분
파일 저장 경로, 다운로드 URL, 파일 크기, 시간, 정상 다운로드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
Web History
사용자가 '직접 방문'한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URL, 접속 시간, 접속 횟수, 페이지 제목 등의 정보를 제공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10 로그 파일 경로
크롬 로그 파일 경로
Cache
Cookie
Download File List, Web History
파이어 폭스 로그 파일 경로
참고
http://portable-forensics.blogspot.com/2014/11/web-artifact.html
https://certangsecurity.tistory.com/m/114?category=809076
https://su0-0su.tistory.com/31
구글 보관 사용자 데이터의 시각화 방안 (0) | 2023.01.03 |
---|---|
웹 아티팩트 수집 및 분석 도구 사용해 보기(WEFA, browsinghistoryview) (0) | 2022.11.21 |
[논문 정리] 내부 보안 강화를 위한 암호화폐 채굴 증거 관련 윈도우 아티팩트 분석 (0) | 2022.11.08 |
[논문 정리] ElasticSearch와 Kibana를 이용한 웹 아티팩트 시각화 (0) | 2022.11.08 |
[논문 정리] 안드로이드 웹 아티팩트 내의 실제 위치 선별 방안 연구 (0) | 2022.11.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