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논문 정리] 안드로이드 웹 아티팩트 내의 실제 위치 선별 방안 연구

swuforce/web

by ユンジ 2022. 11. 8. 20:00

본문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322792

 

안드로이드 웹 아티팩트 내의 실제 위치 선별 방안 연구 | DBpia

송인석, 김채린, 이문원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7.12

www.dbpia.co.kr

 

내용 정리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실제 위치는 물론 관심 위치까지 모두 남아 혼재되어 있는 정보들 중 스마트폰 위치 정보의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캐시, 쿠키 파일을 통해 실제 위치를 선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할 때 네트워크 IP와 GPS 신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해 위치를 특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GPS 신호를 송신하기 어려운 건물 안에서는 연결된 네트워크 IP를 이용하려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캐시 및 쿠키 파일 내 위치 정보를 활용하면 실시간 정보 및 과거의 위치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그러나 획득 가능한 위치 정보는 실제 위치와 관심 위치가 혼재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분류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면 최초 서비스 접속 GPS 정보, 위치 검색 정보, 지도 바운더리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정보가 캐시 및 쿠키 파일 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들을 본 논문에서는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라고 칭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특성상 길 찾기, 교통 정보 검색, 내 주변 검색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최초 접속 시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기록해야 한다. 따라서 최초 접속 시 생성되는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히스토리를 이용해 서비스에 접속한 시점에 생성된 위치 관련 웹 아티팩츠를 선별하는 방법을 이용했다고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인 크롬 웹 브라우저로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할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점유율을 기반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래 표와 같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면 스마트폰에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 생성한다. 각 위치 기반 서비스 별 사용자 행위에 따른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관심 위치와 실제 위치를 구분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위 표는 선정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히스토리 정보 중 최초로 접속했을 때 남는 URL을 정리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최초 사용자가 접속 시 실제 위치를 캐시 및 쿠키 데이터로 저장한다면 위의 표에 해당하는 URL의 접속 시간에 저장된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는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해당 URL의 시간 정보를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 선별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선별한 위치 관련 웹 아티팩트는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저장하고 있었고 정확도는 100 %였다.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 위치를 특정하면 용의자의 위치 추적, 과거 행적 등을 파악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어 보인다. 그 외에도 히스토리 시간 정보 뿐 아니라 실제 위치를 선별하는 기준으로 활용 가능한 다른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용어 정리

지도 바운더리 정보

지도 서비스로 보여지는 화면의 대각선 양 끝 점의 GPS 값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